top of page
제목_없는_아트워크.jpg


Kim yeonwoo 

artworks

겉돌다 서서히 맴도는 형상

 

물을 많이 머금은 물감으로 흐릿하게 그린 그림처럼, 김연우의 그림은 한눈에 온전히 알아채기 어렵다. 물을 많이 탄 물감 탓에 흐릿하게 번진 형상들이 중심도 주변도 적당히 경계를 나누지 못하고 그리다 만 그림처럼 방치된 것은 아닐까 하는 착각을 하게 될 정도로, 김연우의 그림은 대개 무어라 딱히 지목해 부를 수 없는 비슷한 파스텔 톤 색채로 그 어떤 선명한 윤곽선 하나 제대로 그려내지 않은 채 알 듯 말 듯 한 형상만을 가지고 있다. 어쩌면 간간이 나타나 보이는 모호한 형상들 마저 흐릿한 색채에 파묻혀, 결국 종이 위에 스민 물감이 단지 추상적인 이미지를 사유하며 구축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인상을 받기도 한다. 말하자면, 김연우의 그림은 흐릿한 색과 모호한 형상들이 색과 형태로서의 제 존재를 확고히 드러내기보다는, 도리어 위장하여 숨기기라도 하려는 듯, 색과 형태를 위반하는 반대의 태도를 보여준다.

 

김연우는 모든 일체의 색들에 흰색 물감을 과도하게 섞어 리얼리티를 교란시키는 탈색의 효과를 나타내 보인다든가, 윤곽선을 제거한 몰골 채색을 통해 결국에는 형태를 거부하는 비정형의 이미지로 나아가는 일련의 역설이, 그의 그림과 마주한 시선을 계속해서 그림으로부터 미끄러지게 만든다. 무언가 확고한 것을 조금 더 붙잡고 버티기에는, 그의 그림이 스스로 자립하여 누군가의 시선과 마주하며 제 현존을 주장할 수 있을까 하는 의심과 당혹감마저 드는 것도 사실이다. 처음에는 대개 그러할 테다.

 

이를테면, < 방치된 마당 그리고 무화과 >(2020)와 < 아무도 찾지 않는 것들 >(2020)이 그의 작업실에서 다른 그림들 사이에 걸려 있었던, 그것과 처음 마주했던, 그 시간을 다시 떠올려 본다. 자신이 좋아하는 색이기도 해서 이러저러한 개인적인 체험과 단상을 거쳐 일상에서 자주 목격되는 사소하고 쓸모없는 풍경을 그 특유의 색조로 그려보기 시작했다는 김연우의 설명을 들으면서, 먹과 물감에 무명의 흰색을 과도하게 섞어 색을 덜어내고 윤곽을 그리지 않는 몰골 채색법을 통해 형태를 단호하게 구분하려 들지 않는 그의 속내를 가늠해 보려 했다. 이는, 그가 그린 그림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방치된” 장소와 “아무도 찾지 않는” 물건들이 함의하는 숱한 감각과 수수께끼 같은 비현실적/초현실적 상징들이 어떤 물질들 혹은 사물들에 잔해처럼 들러붙어 있지는 않을까 하는 추측으로 이어졌다.

 

김연우는 일상에서 버려지고 방치되고 정지된 것들에 시선을 두고 그 풍경과 정물을 관찰하여 현실의 한 장면이자 그림이 되기 위한 하나의 이미지로 재인식하는 과정을 스스로 마련해 놓은 것 같다. 그는 어떠한 대상이 현존하는 감각을 그림에 옮겨와 회화의 기법과 재료의 물성이 갖는 미학적이며 추상적인 감각으로 전환하여 그 닮음을 모색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 까닭에, 방치되고 아무도 찾지 않는 사물과 풍경들이 현실의 가장자리를 배회하며 겉돌기 마련인 것을, 김연우는 그 가장자리의 풍경에 시선을 오래 두고 천천히 떠오르는 형상을 길어 올려 마침내는 그림이 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감각을 스스로 체화시키는 그 연습의 과정 중에 몰두해 있는 것 같다.

 

 

안소연 미술평론가

Subscribe Form

Thanks for subscribing!

bottom of page